[Github 기초] git 초기화 / 삭제 / .gitignore가 갖는 의미와 작성방법
Git 초기화
해당 폴더 내에 들어있는 소스코드 등의 파일들에 대해서 git을 통해 관리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이다.
원하는 폴더 내에서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하면 숨긴폴더로 .git 폴더가 생성되고 아래와같이 Initialized~ 문구가 출력된다.
명령어: git init
C:\gitInitTest>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C:/gitInitTest/.git/
앞으로 우리가 생성하는 소스코드의 여러가지 이력들은 .git 폴더 내에 저장되어 깃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Git 삭제
.git 폴더를 삭제하는 것을 말한다. .git 폴더 내에 담고 깃으로 관리해오던 소스코드, 프로젝트 등을 더이상 깃에서 관리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명령어는 단순 cmd에서 통하는 삭제명령어다.
명령어: rmdir /s .git (윈도우) / rm -rf .git (맥)
.gitignore
git에 커밋되지 않길 원하는 파일, 폴더가 커밋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gitignore 파일 내에 작성하는것을 말한다.
작성 규칙
폴더: /폴더명
파일: 파일명.확장자
폴더 내 파일: /폴더명/파일명.확장자
폴더 내 특정 확장자 전부(하위폴더는 포함X): /폴더명/*.txt -> 폴더 내에 .txt 확장자를 갖는 파일 전부를 제외한다.
폴더 내 하위폴더에 존재하는 특정 확장자까지 전부: /폴더명/**/*.txt
통상적으로 해당 파일 및 폴더에 #주석으로 어째서 .gitignore에 등록하는지 적는다.
아래 예시를 보자.
위 사진은 VSCode를 이용해 .gitignore를 작성한 예시이다.
.gitignore로 파일 생성시 자동으로 인식이 되므로, 메모장을 만들어 작성해도 무관하다.
작성한 내용을 보자.
파일 및 폴더명이 회색으로 되어있는 것은 .gitignore에 등록된 것으로 간주하면 된다.
첫줄 # : 주석이다.
/docs : docs 폴더 및 그 안에있는 모든 것을 ignore
test.txt : test.txt 파일만 ignore
/docs2/docs2_test.txt : docs2폴더 내에 있는 docs2_test.txt 파일을 ignore
/docs2/**/*.js : docs2 폴더 및 그 하위폴더들 안에있는 모든 .js 확장자 파일을 ignore
하지만 우리가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했을 때 개발환경이 매번 달라짐에 따라 .gitignore에 등록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다. 그럴경우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면 일반적으로 .gitignore에 등록하면 좋은 리스트를 쭉 뽑아줘서 단순 복사 붙여넣기로 번거로운 과정을 줄일 수 있다.
ex)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게될 경우: 사이트 내에서 Android 검색 후 .gitignore 리스트를 복사해서 붙여넣는 템플릿으로 활용하면 된다. 그리고 추가로 필요한 데이터를 이어서 작성하면 되는것이다.
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toptal.com